UPDATED. 2024-03-29 17:05 (금)
기사 (3,688건)

[네이버 열린연단 ‘오늘의 세계’ ⑫ 곽준혁 중국 중산대 교수(철학과)] 오늘날 중국의 지식인들은 왜 ‘유교’를 비롯한 중국의 ‘전통 사상’으로 돌아가서 자기들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려 하는지와 관련된 생각을 전달하고자 한다.다시 말하자면, 이들이 왜 유교 정치사상으로 돌아가려고 하는지, 돌아가서 무엇을 찾고자 하는지, 그리고 무엇을 찾았는지, 그래서 이러한 전통사상으로의 ‘회귀’가 정치철학적으로는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이미 많은 학자들이 지적했듯이 중국 지식인들의 ‘전통 사상’으로의 회귀는 서양에 의해 강요된 ‘근대화 과정’에 대한 반성, 또는 ‘근대성’에 잠재된 ‘서구 중심주의’에 대한 저항의 하나로 볼 수 있다. 나 역시 중국에서의 유교 정치사상의 화려한 부활의 이면에 ‘근대성의 극복’이라는 화두가 있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고 본다. 그러나 나는 유교 정치사상의 부활을 ‘지역적 맥락’으로부터 ‘교차 문화적 맥락(cross-cultural context)’으로 끌어올려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에서의 유교 정치사상의 부활을 ‘근대성의 극복’ 또는 ‘서구 중심주의에 대한 저항’이라는 화두로 단순화했을 때 보지 못했던 것, 즉 ‘철학적 회귀’를 통해 중국인들이 찾고자 하는 정치철학적 대안이 갖는 보편성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무수한 근대성에 대한 비판이 있었지만, ‘근대성’의 극복 또는 ‘서구 중심주의에 대한 저항’은 또 다른 형태의 ‘무의식적 오리엔탈리즘’, 즉 자기 문화에 대한 애착을 넘어 ‘자기 문화’를 중심으로 ‘서구’나 다른 주변의 문화를 ‘타자화’하고 ‘종속’시키려는 열정에 함몰되는 경우가 많았다. 만약 중국에서의 유교 정치사상으로의 회귀를 이런 측면에서만 바라본다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은 또 다른 형태의 자국 중심의 대응 전략 또는 또 다른 형태의 민족주의 불러오기(interpellation)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 명나라가 망하고 청나라가 들어서자, 동아시아 각국의 유학자들이 너도나도 자기 나라가 이제 천하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던 ‘소중화(小中華)’의 역사를 되풀이하게 된다는 것이다.[네이버 열린연단 ‘오늘의 세계’ ⑫ 곽준혁 중국 중산대 교수(철학과)] 정치철학적으로 볼 때, 중국 지식인들이 ‘유교 정치사상’으로의 회귀를 통해 제시하는 중국이 나아가야 할 길, 또는 우리 모두가 나아갈 길은, 중국인들만이 경험한 독특한 역사적·문화적 배경을 넘어선다. 즉 중국 지식인들의 유교 정치사상으로 ‘돌아가기’는 중국만의 고유한 문제를 넘어 인류 보편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

네이버 열린연단 ‘오늘의 세계’ | 곽준혁 | 2023-09-14 08:20

[네이버 열린연단 ‘오늘의 세계’⑪ 이욱연 서강대 교수(중국문화학과)] 한 국가나 민족이 다른 국가나 민족으로부터 겪은 치욕스러운 역사 경험은 민족주의 성장에 좋은 토양이다. 그 치욕이 식민 경험이나 전쟁 등과 관련된다면 더욱 그렇다. 그런 측면에서 보자면, 근대 시기 제국주의에 반(半)식민 경험이 있는 중국의 경우 치욕적 역사 경험은 그 자체로 민족주의의 좋은 토양이 될 수 있다.하지만 중국의 경우는, 그런 치욕 역사 경험이 민족주의 토양으로 작용하는 데 조금 더 독특한 문화적 배경이 있다. 자신을 가장 수준 높은 문화를 지닌 민족이라고 생각하는 중화주의 문화 전통, 여기서 연유하는 중국판 선민의식이라고 부를 수 있는 높은 민족적 자존감, 문화적 유전자로서 중국인의 체면 의식, 그리고 그러한 자존감과 체면이 손상당했을 때 느끼는 치욕감과 그 치욕을 씻고 기어이 원상태로 되돌리려는 갚음 의식 등, 일련의 중국 문화의 핵심 요소가 결합되면서 치욕적 역사 경험이 중국의 독특한 민족주의로 발현된다.21세기 중국 부상 시대에 등장한 중화 민족주의가 바로 그러한 중국 민족주의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중국은 아편전쟁(1840년)부터 중화인민공화국 수립(1949년)까지 근 100년의 시기를 치욕의 한 세기, 치욕의 백 년이라고 부른다. 이 시기는 서구라는 양이(洋夷)와 소일본(小日本)에 중국이 침탈당하면서, 망국멸종(亡國滅種)의 위기에 직면했던 때다. 아편전쟁 이후 중국이 직면한 위기가 사상 유례없는 치명적 위기였다.당시 중국 지식인의 표현을 빌리자면, 3천 년 만의 대변국(大變局)은 중화민족의 위기이자, 중화 문명의 위기로 여겨졌다. 이민족인 몽골족이나 만주족에 정복당한 시기에도 중화 문명의 연속성은 이어졌고, 정복 이민족이 궁극적으로는 중화 문명에 동화됐다. 그런데 근대 위기 때는 사정이 달랐다. 전혀 이질적인 서구 근대 문명의 공세 앞에서 중화 문명은 연속성마저 단절될 위기에 처한 것이다. 

네이버 열린연단 ‘오늘의 세계’ | 최승우 | 2023-09-12 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