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9:20 (금)
비전임 교수 82.4%, ‘생계비 획득’ 때문에 연구과제 참여
비전임 교수 82.4%, ‘생계비 획득’ 때문에 연구과제 참여
  • 박수선 기자
  • 승인 2010.09.29 10: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임-비전임, 고용형태별 시각차

학술정책에 대한 전임 교수와 비전임 교수의 차이는 상당했다. 특히 장기대형 연구과제에 대한 입장차가 컸다. ‘장기연구 사업에 불필요하게 많은 연구역량이 투여되고 있다’는 데 전임 교수 41.9%가 동의한 반면 비전임 교수는 22%로 절반에 그쳤다. 동의하지 않는 비율 역시 각각 27.4%와 42.6%로 차이를 나타냈다. 비전임 교수가 상대적으로 불안한 연구환경에 처해 있다 보니 정기적인 연구환경의 보장을 더 많이 원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공동연구과제 참여 동기를 놓고도 전임교수와 비전임 교수의 의견이 엇갈렸다. 전임 교수 64.7%가 연구지원 주제에 대한 관심을 연구지원의 이유로 든 반면 비전임 교수는 48.5%만이 연구주제에 관심을 나타냈다. 전임 교수가 제자와 주변 동료의 일자리 마련(정교수 67.7%, 부교수 71%, 조교수 57.7%)을 연구 과제의 참여 동기로 든 반면 비전임 교수는 생계비 마련(82.4%)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연구재단 공동연구과제 진행에 대한 평가에서도 이견이 드러났다. 우선 ‘연구주제와 참여 연구원의 전공이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평가에 전임 교수 중 39.8%만이 동의한데 비해 비전임 교수 및 연구원은 50%가 연구주제와 참여연구원 전공의 불일치를 지적했다. ‘연구 결과물은 대개 연구원들의 공동연구 성과라기 보단 개별 연구원의 성과를 모아 놓은 것이다’란 질문에서도 동의하는 비율은 비전임 교수(85.3%)일수록 높았다. 전임 교수는 66.9%만이 위 항목에 동의했다.

 연구재단의 연구과제 선정에 대해서도 비전임 교수가 ‘연구과제 선정률이 너무 낮다’는 의견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동의(78%)했다. 전임 교수의 응답률은 64.4%로 비전임 교수의 응답률 보다 10% 이상 적었다.
 국가 연구지원 정책에 대한 평가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드러났다.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게지를 위해 장기 연구보다 단기 연구에 치중하고 있다’는 평가에는 전임 교수(84.8%)보다 비전임 교수(92.2%)의 응답이 더 높았다.  

박수선·우주영 기자 susun@ku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