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9:01 (목)
'황금비율' 맞췄다던 사분위 3년 만에 대구대 정이사 파면
'황금비율' 맞췄다던 사분위 3년 만에 대구대 정이사 파면
  • 이재 기자
  • 승인 2015.10.19 10: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학 ‘정상화’ 가로막은 사분위의 잘못된 결정

이른바 ‘대구대 사태’의 시작은 1988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988년 10월 당시 총장이던 이태영씨가 병환을 이유로 미국으로 건너간 뒤 부인인 고은애 이사가 대학 운영 전반에 깊숙이 개입하며 학내 분규가 시작됐다. 

당시 대구대 구성원들은 총장이 없는 학교를 민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총장 직선제를 추진했고, 실제로 직선제 추진 약속을 받아내기도 했다. 그러나 1993년 총장의 임기가 끝난 뒤 고 이사는 신모 교수를 총장으로 임명하며 교수들과 갈등에 빠졌다.

반발한 교수들은 조모 교수를 직접 총장으로 선출해 2명의 총장이 선임되는 진풍경도 연출됐다. 이 과정에서 여러 교수가 인사상 불이익을 받았다. 

사태는 1993년 교육부의 개입으로 전환점을 맞이한다. 교육부는 당시 감사를 통해 대학가에 만연했던 대규모 부정입학비리를 적발했다. 대구대 역시 교비불법 유용과 교원부당임용, 허위보고, 건설비리 등 다양한 비리가 적발됐다. 대구대가 교육부의 학원 운영 정상화 요구에도 불복하자 교육부는 1994년 2월 대구대 이사회에 대한 임원승인신청을 취소하고 임시이사를 파견했다. 21년에 걸친 대구대 임시이사 체제의 시작이다. 

약 10여년 간 지속된 임시이사 체제 하에서 대구대는 2006년 당시 교육과학기술부 임시이사 파견사유 해소대학으로 분류돼 정상화 기회를 얻는다. 임시이사들이 이끌던 학교법인 영광학원은 모든 대학 구성원을 아우른 ‘학원정상화추진위원회’를 발족시키고 ‘7인의 정이사 후보’를 사학분쟁조정위원회에 제출한다. 이 7명의 후보에 대해서는 영광학원 전체 구성원의 83%가 동의해 높은 지지를 얻었고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 등 지방자치단체장들이 공개적으로 지지선언을 할만큼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한 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2011년 7월 사분위는 이 같은 대학 구성원과 지자체장들의 지지선언에도 불구하고 고 전 이사가 추천한 이사 3명을 포함한 정이사 선임을 발표했다. 사분위는 당시 “대학 구성원이 적극 반대하는 기피 인물을 배제하고 이사진의 황금비율을 맞추는 등 중립성 확보를 위해 노력했다”고 발표했으나 이 때 고 전 이사의 추천으로 승인된 이사 3명과 설립자 장손이 포함된 대학 구성원 추천이사 2명이 극심한 반목에 빠져들었다. 

결국 교육부는 지난 2014년 7월 대구대에 다시 임시이사를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1994년 처음 임시이사가 파견된 뒤 17년만에 ‘정상화’를 이뤘으나 2년여만에 재차 임시이사를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 교육부는 정상화를 이루겠다는 의지를 밝혔으나 결국 정상화 시도는 실패하고 임기를 6개월 더 연장하기에 이른다. 현재 대구대 임시이사 7명의 임기만료는 내년 1월 30일로, 약 100여일 밖에 남겨두지 않았다. 

이재 기자 jael@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