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5:40 (금)
초점 잃은 대학가 산학협력, 취업률에 덜미 잡히나?
초점 잃은 대학가 산학협력, 취업률에 덜미 잡히나?
  • 이재 기자
  • 승인 2016.01.20 18: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가들 "산학협력 양적 팽창 모델 고민해야"
교육부 "취·창업 중심 산학협력 추진"

대학과 지역 산업체를 동반 성장시키겠다는 교육부의 산학협력 정책이 목표를 잃고 표류하고 있다. 교육부가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사업)을 5년째 추진하며 양적 성장은 달성 했지만 정작 산학협력의 목표를 잃어버린 셈이다. 이 사이 교육부는 정부의 기조에 따라 산학협력의 목표를 학생들의 취업과 창업으로 가닥을 잡았다. 

19일 윤재옥 새누리당 의원이 국회에서 주최한 ‘창조경제 실현 및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한 산학협력 추진방안’ 토론회에서는 산학협력의 목표를 둘러싼 혼란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이날 토론회에 참가한 전문가들은 ‘지속가능한 산학협력’ ‘창업 활성화 유도’ 등 선언적인 분석과 대안을 반복적으로 내놨다. 그러나 정작 LINC 후속사업의 방향성이나 5년간 문제로 지적된 현장학습의 질적 수준과 인력문제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전문가들의 진단은 대체로 유사했다. 이들은 산학협력 교수와 현장실습 참여 학생, 기술이전 건수와 산학협력 가족회사 수가 늘고 있다며 산학협력 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실제로 전문가들이 인용한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전체 학생 가운데 현장실습을 이수한 학생의 비율은 2011년 7.34%에서 2013년 18.5%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교수 1인당 기술이전 건수도 0.056건에서 0.14건으로 2.5배 증가했고, 가족회사 수는 2만3천620개(2011년)에서 4만663개(2013년)로 증가했다. 

문제점으로는 △대학원생 창업 부족 △상업기술 공급 부족 △창업관련 정규교과목 편성 부족 등을 꼽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수직적이고 수평적인 창업교육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논의는 자연스럽게 양적 성장을 가속하고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후속사업의 성격으로 옮아갔다. 

정진엽 ㈔한국에너지기술방재연구원장은 “대학간 경쟁을 피하고 산학협력 생태계를 구성할 할 수 있도록 컨소시엄 형태의 사업모델을 구상하는 것도 필요하다”며 “자원을 공유하고 협력적인 산학협력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된 대학생 현장실습 부실화와 학생창업 실패 대책에 대해선 논의가 이뤄지지 못했다. 창업실패를 대비한 기금조성이 한 차례 논의됐으나 “긍정적으로 검토할 만 하다”는 원론적 수준에 그쳤다. 

산학협력에 대한 초점을 잃은 논의는 이날만이 아니다. 앞서 지난해 11월에도 국회에 모인 전산학협력 전문가들은 산학협력의 양적 성장에 초점을 맞춘 논의를 진행했다. 당시에도 다양한 대학의 링크사업단장들이 자리를 가득 메워 교육부 재정지원사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드러냈다. 

그러나 전문가들의 이 같은 논의는 오래 지속되지 못할 전망이다. 교육부가 산학협력의 목표를 학생의 취업·창업률 제고로 설정하면서 후속사업 역시 이를 강하게 요구할 공산이 크다. 최근 교육부는 포스트 링크사업(Post LINC)의 평가에 대학의 취업·창업 지원성과를 반영키로 하는 등 산학협력의 성과로 취업률 제고를 요구한다는 방침을 명확히 드러냈다. 

이재 기자 jael@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