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8:35 (금)
3·1운동의 사상사·지성사적 위치를 탐색한다
3·1운동의 사상사·지성사적 위치를 탐색한다
  • 양도웅
  • 승인 2018.11.19 19: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동북아역사재단,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의 배경과 의의-사회진화론 비판과 공화주의 형성과정」 학술회의 개최
- 1919년, 운동과 임시정부가 꿈꾼 ‘공화제’는 무엇인가
- 약육강식‧적자생존이라는 사회진화론과의 사상적 대결 펼친 1919년 3·1운동
- 오는 21일(수) 10시~18시 동북아역사재단 11층 대회의실

동북아역사재단(이사장 김도형) 한일역사문제연구소가 오는 21일(수) 오전 10시 재단 11층 대회의실에서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의 배경과 의의-사회진화론 비판과 공화주의 형성과정」을 주제로 학술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회의는 2019년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올해 재단 내 기획연구로 진행된 ‘3·1운동 전사(前史): 한국에서 사회진화론 비판과 공화주의 형성과정’의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장이다. 1919년 3·1운동 전개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은 한국사는 물론, 동아시아나 세계사적 관점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게 학계의 판단이다. 

특히 1919년 4월 11일 반포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에서 ‘민주공화제’를 선언한 것은 역사적 사건으로, 이번 학술회의에서는 3·1운동 당시 국제정치에서 힘의 논리에 근거한 권력정치(Power Politics) 현상을 비판하고 그 대안으로 ‘정의‧평화‧인도주의’와 ‘공화주의’가 주목한 과정이 재조명될 예정이다. 

1919년 3월, 종로에서 만세 시위하는 여학생들. 사진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1919년 3월, 종로에서 만세 시위하는 여학생들. 사진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이번 학술회의의 제1세션 ‘서구 사회진화론과 공화주의 사상의 전파와 한국 내 수용’에서는 구한말 이후 3·1운동 전까지 적자생존을 정당화한 사회진화론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을 분석하고, 공화주의 개념이 한국에 소개되고 수용되는 과정에 대해서 논의한다. 발표자로 이병택 재단 연구위원, 김현철 재단 연구위원, 신철희 서울대 한국정치연구소 연구원이 참여한다. 

이어 제2세션 ‘20세기 초 한국 독립운동가들의 사회진화론 비판과 공화주의 인식의 양상’에서는 독립운동가에 초점을 맞춰 공화주의 인식의 다양한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핀다. 김기승 순천향대 교수(향설나눔대학)가 박은식, 이상룡, 신채호, 조소앙의 사례를, 장세윤 재단 수석연구위원이 해외 독립운동 세력의 사례를 소개한다. 윤대원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연구교수는 해외 독립운동단체들이 당시 국제정세를 파악해 ‘공화제’를 구상하게 된 과정을 발표한다.

마지막인 제3세션에서는 ‘3·1운동과 임시정부의 사상적 배경으로서 공화주의 형성의 특징과 시사점’을 주제로 모든 발표‧토론자가 참여해 토론한다. 

재단 관계자는 “이번 학술회의를 통해 기존 3·1운동의 배경으로 알려진 파리강화회의나 민족자결주의 외에도 국제적으로 다양한 영향과 당시 지식인·독립운동가의 인식 변화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며 “그에 따라 유례없는 평화 운동으로서의 3·1운동과 그 결과로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사상사적·지성사적 배경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양도웅 기자 doh0328@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