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20:55 (목)
‘인사총’ 출범…“차이 인정하는 인문사회 특성 반영해야”
‘인사총’ 출범…“차이 인정하는 인문사회 특성 반영해야”
  • 김재호
  • 승인 2021.03.30 17: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0일 한국인문사회총연합회 출범, 공동회장 6인 구성
학술토론회서,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비판

‘한국인문사회총연합회(이하 인사총)’가 30일 출범했다. 이날 오후 2시, 한양대 에리카 국제문화관에선 인사총 창립식 및 출범대회가 열렸다. 

이날 출범대회에선 선언문을 통해 “법제 정비와 국가급 학술자문회의 설치를 통해 인문사회 분야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발전기반을 조성해야 한다”면서 “학술정책연구 전문기구 설립을 통해 연구자 주도의 학술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인문사회 분야의 학문적 특수성을 외면하는 제반 정책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면서 “실효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정책 수립을 통해 인문사회 분야 연구개발 예산을 대폭 증액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사총의 공동회장은 이상훈 한국인문학총연합회 대표회장, 김정식 한국사회과학협의회 회장, 류재한 전국 국공립대 인문대학장협의회 전임 회장, 류동춘 전국 사립대 인문대학장협의회 전임 회장, 김천영 전국 국공립대 사회과학대학장협의회 전임 회장, 위행복 한국인문사회총연합회 준비위원장이 맡기로 했다.

30일 한국인문사회총연합회가 출범하면서 학술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인문사회 분야의 학술적 특성을 반영하는 진흥법과 관련 기구가 마련돼야 한다고 성토했다. 사진=유튜브 토론회 캡처 

연구자 주도의 학술정책 수립 필요

유튜브로 생중계된 이날 출범대회에는 유은혜 사회부총리 및 교육부 장관, 유기홍 국회 교육위원장, 정해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이우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등이 축하메시지를 전했다. 유은혜 사회부총리는 “코로나19가 확장하는 비대면 사회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질문을 던지고 있다”면서 “과학과 공학의 패러다임만으론 극복할 수 없다”고 말했다. 유 사회부총리는 “교육부는 지속적인 학술 기반 마련을 위한 인문사회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며 다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홍림 전국 국공립대 사회과학대학장협의회장은 집단적인 성찰과 노력이 필요한 시대라며, 인사총에 대해 “또 하나의 이익단체가 아니라 근본적 질문 탐구의 학자들을 지원하는 단체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유성호 전국 사립대 인문대학장협의회장은 “인사총이 연구자들에게 위안과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정식 한국사회과학협의회 회장은 “국가는 학술의 집으로 지어진 집”이라며 “한쪽(인문사회학)이 무너졌다. 조속히 바로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류동춘 전국 사립대 인문대학장협의회 전 회장은 2006년 인문학 위기 선언 이후, “인문사회 학술 생태계에 대한 문제는 아직 해결되고 있지 않다”라면서 “인사총 창립을 계기로 다양한 학문 영역의 성격을 유지·반영하면서 대외적으로 결집된 역량을 나타낼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익단체 아니라 다양성 유지, 반영되어야

이어서 원숙연 이화여대 교수(한국행정학회 차기 회장) 진행으로 ‘인사총의 위상과 역할’ 학술토론회가 펼쳐졌다. 위행복 한국인문사회총연합회 준비위원장은 ‘인문사회 분야 학술연구와 교육 진흥을 뒷받침할 법제의 정비’에 대해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현재 인문사회 분야의 학술연구 지원은 「학술지원법」과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 처리규정」(교육부훈령 제223호)에 의존하고 있다. 과학기술 분야는 「과학기술기본법」을 비롯해 24개의 법령이 잘 정비돼 있다. 과학기술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법적 기반 강화를 위해 노력한 것처럼, 인문사회 분야도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뜻이다.  

위행복 한국인문사회총연합회 준비위원장은 한국연구재단에서 발표(2019)된 「학술진흥 정책 수립체계 재정립 및 중장기 학술진흥방안 연구」를 인용했다. 인문사회 분야 과제수혜율은 13.3%에 비해, 이공 분야 과제수혜율은 39.2%다. 교원수와 연구책임자 수를 보더라도, 인문사회는 교원 수가 3만3천521명인데, 연구책임자 수는 4천445명(약 13%)이다. 이공 분야는 4만940명 교원 수에 연구책임자 수는 1만6천57명(약 39%)이다. 

위행복 한국인문사회총연합회 준비위원장은 “위상은 부여받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확보해나가는 것”이라면서 “국가사회 혹은 국민 일반의 승인이 있어야 인사총의 위상이 형성되고, 인문사회 분야의 장기적이고 안정적 발전기반이 형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학계 스스로 미래를 예측하면서 연구와 교육과 성과확산의 새로운 환경을 주시하고 미래지향적 아젠다와 방법을 적극 발굴함으로써, 인문사회 분야 학술연구에 대한 수요와 지원의 확대를 스스로 창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강재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 본부장은 현재 실질적 정책연구가 잘 안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 혁신이라는 미명 하에 하향 평준화를 초래하고 인문사회 분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면서 “과학기술과 인문사회는 기울어진 운동장”이라고 지적했다. 이강재 본부장은 “인문사회 각 분야마다 입장이 다를 수 있음과 차이를 인정하고 공동의 발전을 위한 노력을 인사총에서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정식 한국사회과학협의회 회장은 세 가지를 강조했다. 첫째 학제간 연구 활성화, 둘째 한국적 툭수성을 반영한 한국적 모형 만들기, 셋째 국제화이다. 이상훈 한국인문학총연합회 대표회장은 ‘메타세계에서 인문정신과 사회적 가치’를 강조했다. 그는 “인문정신 없는 공동체는 분열적이고, 사회적 가치 없는 결사체는 반자유적”이라며 “‘인문정신의 함양과 사회적 가치의 고양을 위한 기본법’의 제정과 인문사회 정책수립 및 집행의 체계화를 위한 헌법기구로서의 ‘국가위원회’ 설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류재한 전국 국공립대 인문대학장협의회 전임 회장은 “합의되지 않는 상태를 견디면서 함께 가는 것이 인문사회의 특성”이라면서 “학문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은 인문사회의 근간을 흔든다”고 말했다. 류동춘 전국 사립대 인문대학장협의회 전임 회장은 “인문사회학에 대한 제대로된 인식을 촉구한다”면서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서 자율적이고 책임 있는 연구 환경을 조성한다고 하지만 표방하는 목표를 이룰 수 없는 게 자명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생태계 복원 및 연구의 자율성 확보 △학문간 균형적 발전 유도 △한국적 가치 창출을 통한 사회에 기여 △미래 사회에 대반 비전 제시를 위해 제도적 뒷받침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천영 전국 국공립대 사괴학과대학장협의회 전임 회장은 인사총의 미래에 대해서 “교육, 연구 사회적 실천의 열린 미래를 만들어가는 데 계기성을 만들어가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다. 

김재호 기자 kimyital@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