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13:10 (토)
리터러시와 시민성교육
리터러시와 시민성교육
  • 최승우
  • 승인 2022.05.13 14: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경한 외 5인 지음 | 푸른길 | 208쪽

복잡하고 불확실한 현대 사회에서 주체적이고 생산적인 존재로 살아가려면
우리에게 필요한 역량은 과연 무엇일까?

정보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우리 주변은 셀 수 없이 많은 정보가 넘쳐난다. 손 뻗으면 닿는 거리에 다양한 자료를 접할 수 있으니 얼마나 좋은가. 그러나 문제는 자료가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는 만큼 확실하지 않은 정보 또한 늘어난다는 것이다. 방금 내가 얻은 자료가 제대로 된 정보라는 건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무분별하게 쏟아지는 정보와 텍스트 속에서 길을 잃지 않을 수 있을까?

그 대안으로 『리터러시와 시민성교육』은 제목 그대로 ‘리터러시(literacy)’와 ‘시민성’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한다. 여기서 언급하는 리터러시를 단순 읽고 쓰는 능력으로 생각해선 안 된다. 오랫동안 교직 생활을 한 여섯 명의 저자들이 말하는 리터러시란 읽고 쓰는 능력을 넘어 정보를 비판·분석하는 능력이며 의미를 생성·창출하는 능력이다. 즉 복잡하고 불확실한 현대 사회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주체적으로 사고하고 판단하는 방법인 것이다.

21세기는 다른 사람들과 다양한 미디어로 정보를 교환하는 세상이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나 문제를 파악할 능력이 자연히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사회 문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실천하고자 한다면 리터러시 역량을 갖춰 사회와 소통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리터러시 시민성을 개발하는 것이며, 데이터 세상에 시민사회를 구축하는 길이다.

『리터러시와 시민성교육』에서는 여섯 명의 저자들이 각자의 분야에서 체득한 리터러시에 대해 논의한 글들을 모았다. 시민성교육, 비판적 리터러시 교육, 통계 리터러시, 음악적 리터러시, 피지컬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데이터 시대를 살아가는 시민들에게 필요한 역량을 분석하고 논의한다.

1장은 리터러시와 시민성을 다룬다. 리터러시가 고차사고력으로서 비판적 사고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살펴보고, 미디어 리터러시와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리터러시와 시민성의 관련성을 제시한다. 또한 리터러시와 시민성의 정합으로서 비판적 리터러시 시민성의 의미와 방향성을 논의한다. 2장은 미래 사회의 세계 시민 양성을 위한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을 다루고 있다. 미래교육에서 리터러시가 주목받는 이유를 알아보고, 리터러시와 세계 시민성의 개념과 관련하여 세계 시민(성)의 개념과 교육적 시사점 그리고 세계시민 양성을 위한 리터러시 교육의 전망을 살펴본다. 세계 시민 양성을 위한 리터러시 교육의 전망에서는 리터러시 교육의 중핵으로서 사고력 함양과 문화적 리터러시로서 가족 문식성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3장은 통계 리터러시와 데이터 시대의 시민교육을 다룬다. 먼저 통계 리터러시의 배경과 기능을 살피고 교육목표로서의 통계 리터러시에 대해 이야기한다. 통계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시민교육을 통계적 문제해결 교육과 통계 윤리 교육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통계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노력에 관해 제시한다. 4장은 음악적 리터러시의 시민교육적 함의를 다루고 있다. 먼저 음악적 리터러시의 의미를 알아보고 음악교육에서 음악적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음악과의 핵심역량으로서 음악적 리터러시와 이에 대한 교수 설계 방법을 살핀다. 또한 음악적 리터러시에 담긴 시민교육적 가치를 예술적 시민성을 중심으로 설명한 후 예술적 리터러시를 갖춘 시민의 특징과 그 가치에 대해 제시한다.

5장은 피지컬 리터러시와 시민교육을 다룬다. 먼저 리터러시 시대에 체육교육의 새로운 의제로 등장한 피지컬 리터러시의 배경과 의미 그리고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피지컬 리터러시와 시민교육의 관련성을 전인적 수양, 스포츠의 문화성, 행복한 삶의 여정의 관점이라는 주제로 설명하고, 미래 사회에서 피지컬 리터러시의 중요성도 제시한다. 6장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을 다루고 있다. 먼저 디지털 리터러시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과 특징을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 요소와 확장 개념을 중심으로 살핀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향에 대하여 인공지능 사고 기반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시수 확보와 제대로 쓰게 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주제로 하여 논의한다.

최승우 기자 kantmania@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