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20:30 (목)
광개토태왕 담덕 1, 2
광개토태왕 담덕 1, 2
  • 최승우
  • 승인 2022.07.15 14: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엄광용 지음 | 새움 | 750쪽

왜 지금 우리에게 다시『광개토태왕』일까? 그 해답은 과연 우리가 미래의 길을 어떻게 열어 갈 것인가, 라는 질문 속에 들어 있다. 우리민족은 말을 타고 북방 초원로를 달리던 유목민의 후예다.

유목민의 ‘노마드 정신’이 우리의 핏속에 강한 생명력의 DNA로 내장되어, 오늘날 대한민국을 세계 8위의 경제 강국으로 만들 수 있었다. 광개토태왕의 영토확장 정신이 오늘날 ‘경제영토 확장’으로 거듭나게 된 것이다.나는 20여 년간 역사 속에 가려진 광개토태왕의 발자취를 더듬기 위해 조각난 자료들을 수집하고, 흔적이 지워진 역사 현장을 답사하는 등 나름 최선을 다해왔다.

조각난 자료들의 퍼즐 맞추기는 지난하고 지루한 작업이었다. 자칫 역사의 팩트에서 벗어나기 쉬운 일이므로, 근거 불충분한 상상력으로 그 공간을 메우지 않기 위해 부단히 노력을 기울여 왔던 것이다.광개토태왕의 역사 기록은 ‘광개토태왕 능비’에 나온 것이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김부식의 『삼국사기』는 그런 기록들조차 중국 사료만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다루어, 오히려 역사 퍼즐 맞추기를 방해하는 형국으로 만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고구려 생활상을 다룬 저술들과 이웃 나라와의 물산 교역, 전통 무속신앙과 종교의 합류 과정, 지리적 특성과 그곳에서 나는 특산물들, 나무와 풀과 생명체들을 통하여 역사 퍼즐을 복원하는 데 온 힘을 다하였다.중국 둔황을 거쳐 실크로드를 답사했을 때, 고비사막 가운데 서 본 기억이 있다.

사방 어디를 둘러보아도 지평선이었는데, 시야를 최대한 넓혀서 바라보면 둥그스름한 직선의 형태였다. 그것이 바로 ‘광야’였다. 1천5백여 년 전 광개토태왕은 말을 타고 이러한 광야를 달리면서 무엇을 느꼈을까, 생각을 하다가 나도 모르게 울컥 하는 심정이 되기도 했다. 생각이 한반도에만 갇혀 있던 내게 노마드 정신을 일깨워주는 순간이었던 것이다.

나는 『광개토태왕 담덕』을 쓰면서 어떻게 하면 우리나라가 노마드 정신을 되살려 새로운 미래의 길을 열어갈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단 한시도 잊은 적이 없다. 39세의 짧은 일생 중 상당 부분을 저 초원의 광야를 질주하며 말 위에서 보낸 광개토태왕의 노마드 정신은 이미 역사 속의 원형질로 돌아가 한마디로 정의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나는 소설을 통하여 그 원형질의 동력을 찾아내기 위해 전심전력을 다하였다. 소설 속에서 그 동력을 찾아내는 것은 독자들의 몫이지만, 분명 광개토태왕이 광야를 달리는 말발굽 소리를 통해 오늘날 세계로 뻗어 가는 네트워크를 상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 세계가 그물처럼 엮여진 정보의 유통망을 통하여, 독자들이 새로운 미래의 시간을 열어가는 동력을 확보하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2022년 6월 엄광용

최승우 기자 kantmania@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