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21:45 (목)
제국의 싱크탱크 만철조사부, 유산과 극복을 넘어서
제국의 싱크탱크 만철조사부, 유산과 극복을 넘어서
  • 이형식
  • 승인 2022.09.13 08: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제 식민사학을 비판한다 ④ 만철조사부

올해로 광복 77주년을 맞이했다. 일제강점기로부터 해방된 지 오랜 세월이 흘렀지만, 대한민국은 여전히 역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식민지 근대화론과 좌우 대립 등 이념 갈등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과연 한국인은 당파 싸움만 하며 전통만 고수하다가 나라를 빼앗겼을까. 이번에 출간된 ‘일제 식민사학 비판 총서’ 시리즈는 그동안 온전히 드러나지 않았던 일제 식민사학의 실체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대학·언론·박물관·철도주식회사·조선총독부 등은 과연 어떤 식으로 식민사학을 개발해왔는지 알아본다. 

네 번째는 제국의 싱크탱크 역할을 했던 만철(남만주철도주식회사)조사부이다. 박준형 서울시립대 교수는 만철조사부가 만주 등지를 무대로 한 조사 활동을 통해 제국 일본 중심의 공간 질서 구축에 기여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박 교수는 ‘전후 조선사학’을 이끈 전 만철조사부원 하타다 다카시를 살피고서 학문의 순수성에 의문을 제기했다고 평했다. 이에 대해 이형식 고려대 교수는 하타다 다카시가 만철조사부의 ‘지적 유산’으로부터 자유로웠을지 질문을 던진다. 즉, 그에 대한 한계나 문제점 지적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중국농촌관행조사 시절 하타다 다카시(왼쪽에서 두 번째 담배 든 사람)이다. 사진=사회평론아카데미

“일본의 ‘전후 조선사학’을 살펴보려면 북한·재일 조선인·한국의 연구과 함께 식민사학, 자본주의 맹아론, 내재적 발전론과 미국발 근대화론이 혼재, 경합하는 전후 일본의 사상 공간까지를 시야에 넣은 다각적이고 입체적인 시각이 필요하다.”

최근 한국에서는 탈식민주의의 과제로서 부상한 식민주의 역사학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일본의 식민주의 역사학을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조직이 만철조사부다. 만철조사부는 타이완 민정장관을 역임하고 초대 만철 총재에 취임한 고토 신페이(後藤新平)가 중국 동북부 지역을 조사, 연구하기 위해 1907년 설립했다. 만주조선역사지리조사, 지나항전력조사, 중국농촌관행조사 등 제국 일본의 아시아 지배와 침략을 학문적으로 뒷받침한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했다. 1945년 일본의 패망으로 해산된 이후에도 조사부 구성원은 정계, 재계, 학계로 진출했고, 만철조사부의 ‘지적 유산’은 아시아경제연구소로 계승되어 전후 일본의 중국 연구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로 인해 일본에서는 이미 방대한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 있다. 저자의 고백처럼 한국근대사 연구자가 만철조사부 연구에서 한국적 시각을 수립하는 것은 그리 녹록하지 않았을 것이다. 

저자가 이 난관을 돌파하기 위해 만선역사지리조사부 멤버인 도쿄제국대학의 이케우치 히로시의 제자이자 중국농촌관행조사에도 참여했던 하타다 다카시에게서 그 실마리를 찾은 것은 탁월한 선택이었다. 이 책에서는 하타다가 만철조사부가 남긴 ‘지적 유산’들과의 분투 속에서 권력과 학문의 유착관계를 문제삼으면서 일본의 ‘전후 조선사학’을 고뇌하는 모습을 밀도 있고 설득력 있게 그려내었다. 나아가 하타다를 통해서 “누구를·무엇을 위한 학문인가”라는 역사 연구자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묵직한 질문을 제기하는 부분은 대단히 흥미로웠다. 저자의 연구는 ‘만선사 연구’, ‘하타다 사학’ 연구, 나아가 최근 한국학계에서도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일본의 ‘전후 조선사학’ 연구를 재조명하는 데 커다란 학문적 기여를 하리라 생각된다. 특히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갔던 ‘만선사’가 부활할 조짐을 보이고 있는 최근의 일본 학계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시의적절하다. 

 

전후 조선사학에 대한 몇 가지 의문

‘교토학파’ 동양사학자에 관한 논문을 한 편 쓴 적이 있지만 주로 식민지 정치사를 연구해온 필자가 동아시아 공간 재편, 실증주의, ‘전후 조선사학’을 다루고 있는 본 저서를 평가하는 것은 필자의 역량을 뛰어넘는 일이다. 따라서 필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전후 조선사학’에 대한 몇 가지 의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먼저, 하타다는 만철조사부의 ‘지적 유산’으로부터 얼마나 자유로웠을까. 저자는 하타다에게서 ‘만선사’는 비판과 단절의 대상이라고 서술하고 있다. 하지만 도쿄대학의 미쓰이 다카시(三ツ井崇) 교수가 지적하듯이, 하타다가 비판했던 것은 ‘만선사’의 역사관, 조선관의 문제였지 제도나 방법론은 아니었다. 오히려 ‘만선사’로 대표되는 전전의 일본의 ‘조선사 연구’가 문헌비판이나 사실 고증에서는 매우 엄밀했고 그 실증적 방법론은 계승해야 한다고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하타다는 ‘만선사’를 인간(조선인) 부재의 역사라고 비판했지만 정년을 앞두고 자신의 연구를 뒤돌아보면서 ‘조선인의 문화창조력’을 외압과 저항의 시각으로 그려내지 못했다고 자기반성하고 있다. ‘조선 민족’을 주체로 한 ‘조선사 연구’는 여전히 미완의 과제로 남았던 것이 아닐까. 하타다가 퇴임할 때까지도 학문의 순수성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며 자신의 반성과 대결하고 있었던 것은 역사 연구자로서 높이 평가할 만하지만, 이 책은 ‘하타다 사학’에 대한 한계나 문제점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그런 점에서 연구 대상과의 거리두기가 아쉬워 보인다. 

저자는 하타다의 ‘전후 조선사학’이 민족문제에 천착한 역사학연구회의 비판적 역사의식 속에서 배양되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하타다 사학’으로 대표되는 일본의 ‘전후 조선사학’을 생각할 때 만철조사부의 유산과 그 극복이나 마르크스주의(‘강좌파’) 성향이 강한 역사학연구회의 영향만으로 설명이 가능할까. 전전의 ‘조선사 연구’에 대한 비판과 반성의 계기가 되었던 북한의 연구, 재일 조선인 연구자의 연구, 한국 연구의 영향은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특히 1950∼1960년대에 일본에 번역되어 소개된 북한의 연구들은 재일 조선인 연구자나 일본인 연구자들에게 적지 않는 자극을 주었다는 점에서 일본의 ‘전후 조선사학’을 논할 때 무시할 수 없는 지점이다. 아울러 제자 세대에 해당되지만 민족(조선 민중) 문제와 일본인의 책임을 끊임없이 제기해왔던 가지무라 히데키(梶村秀樹)와의 사상적 교차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식민사학’뿐만 아니라 자본주의 맹아론, 내재적 발전론과 미국발 근대화론이 혼재, 경합하는 전후 일본의 사상 공간까지를 시야에 넣은 다각적이고 입체적인 시각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자료가 부족한 열악한 연구 환경 속에서 만철조사부 연구의 실마리를 마련한 저자의 노고에 고개가 숙여진다. 이 연구를 계기로 만철조사부로 대표되는 일본의 아시아 연구에 대한 관심과 심화를 기대한다. 

 

 

 

이형식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교수
고려대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에서 일본근대사로 석·박사를 취득했다. 국민대 일본연구소 전임연구원, 가천대 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朝鮮総督府官僚の統治構想』, 『제국과 식민지의 주변인: 재조일본인의 역사적 전개』(공저) 등을 집필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