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17:45 (금)
‘단절·국가 무능’이 사회경제적 붕괴 부른다
‘단절·국가 무능’이 사회경제적 붕괴 부른다
  • 김재호
  • 승인 2022.12.09 09: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책과 사색_『붕괴의 사회정치학』 파블로 세르비뉴·라파엘 스테방스 지음 | 강현주 옮김 | 312쪽

설문결과, 응답자 절반 이상이 문명의 붕괴 인식
붕괴와 회복력은 동전의 양면…패배주의는 아냐

이태원 참사(10.29)가 일어난 지 한달이 지났지만 달라진 게 없다. 죽음은 한순간이다. 그런데 사고수습은 오래 지속될 것 같아 두려움이 엄습한다. 최근 출간된 『붕괴의 사회정치학』은 붕괴의 원인으로 ‘세계적 단절’과 ‘시스템 위기’를 지적한다. 단절과 무능은 이태원 참사를 겨냥하는 듯하다. 조직 간 소통의 부재와 국가체제의 무능이 이번 참사를 불러왔다. 

 

‘붕괴론’, ‘붕괴학’은 이제 더 이상 낯설지 않다. 사회·경제 시스템이 무너지면 참사는 개인을 덮친다. 끊임없이 일어나는 사건·사고는 국가가 개인을 지켜주지 못한다는 걸 반증한다. 사람들도 붕괴를 인식하고 있다. 프랑스, 미국, 영국, 이탈리아, 독일 5개국 5천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다가올 붕괴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우리가 상상했던 것과 비슷하거나 훨씬 더 높은 수준”이었다고 한다.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이 수년 안에 문명이 붕괴할 것이라고 답했다. 

붕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기본적인 필요(물, 음식, 주택, 의복, 에너지 등)가 법으로 규제받는 서비스를 통해 인구 대다수에게 더 이상 (합리적 비용으로) 제공되지 않는 과정의 마지막 단계.” 붕괴는 전방위적·비선형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렇다고 절망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붕괴와 회복력은 항상 함께 짝을 이루며 동전의 양면과 같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희망의 사례는 2017년 뉴질랜드에서 발생했다. 140년간의 치열한 협상을 거쳐 뉴질랜드 법체계는 강과 산에 인간과 동일한 권리를 부여했다. 뉴질랜드의 마오리족에게는 의미 있는 결과였다. 그래서 공저자는 “붕괴주의는 일반화한 패배주의와는 거리가 멀다!”라고 강조했다. 

 

붕괴는 비선형적으로 진행된다. 사진=픽사베이

김재호 기자 kimyital@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