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7 21:45 (토)
지역사회, 대학을 지켜라
지역사회, 대학을 지켜라
  • 이영수 교수신문 발행인
  • 승인 2013.10.07 14: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학정론

 

이영수 교수신문 발행인
경북 경산시에 있는 대구대와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상지대는 몇 가지 점에서 공통점이 있습니다. 사립대라는 점, 과거 대학 민주화의 상징이었다는 점, 그리고 구재단 복귀로 내홍을 앓고 있다는 점이 그렇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광주에 소재한 조선대에서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 세 대학은 학내 구성원 스스로가 민주적 운영이라는 모범을 실천했던 대표 私學이었다는 점에서 한국 대학사에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지금 대구대는 학내구성원들이 홍덕률 현 총장이 다시 선택했음에도 법인 이사회가 ‘인준’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습니다. 물론 총장 임기가 이달 말까지 남아 있긴 합니다. 상지대는 총장이 없는 상태로 학사운영이 파행적으로 진행돼 왔습니다.

지난 해 9월 총장을 선출한 조선대의 경우, 이사들의 임기가 모두 종료됐음에도 새로운 이사진을 구성하지 못한 채 표류하다 최근 ‘결원이사’를 부당한 방식으로 선출해 잡음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조선대 교무위원회는 성명을 내 “교육부는 조선대의 혼란을 야기한 이사회의 결정을 인정해서는 안 되며, 구성원들이 한 목소리로 반대하는 임원승인을 불허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라고 지적했습니다.

한국 대학들이 안팎으로 새로운 도전의 시기에 직면해 있다는 것은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민주적 가치와 투명한 운영, 합리적 판단과 비전 제시가 필요한 이 때, 축적된 대학의 민주적 가치를 부정하는 舊態가 일부 私學에서 재연되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일입니다.

지역에 위치한 대학들은 작게는 지역 발전의 성장 동력이자, 다양한 가치와 문화의 용광로로 기능하며, 크게는 이 나라 발전에 필요한 인재들을 배출하는 데 기여해 왔습니다. 대구대는 올해 상반기 170억이 넘는 정부 지원금을 수주하는 성과를 올렸습니다. ‘시민대학’을 표방했던 상지대는 구재단 복귀 이후 학생 지원율이 감소했습니다. 조선대는 대학 행정의 최전선에 선 교무위원까지 나서서 합리적 운영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대학이 흔들리면 지역도 흔들리게 됩니다. 대구대, 상지대, 조선대는 지역의 자부심을 높여온 대학들입니다. 이제는 지역민이 나서서 이들 대학을 껴안고 지켜야 합니다. 대학이 ‘불투명성’의 늪에 빠져드는 것은 대학의 에너지를 고갈시키는 일일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발전과 성숙을 가로막는 일입입니다. 돌이킬 수 없는 지역 퇴보도 예상됩니다. 사학 법인과 지역사회의 省察이 그래서 더욱 필요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