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13:45 (금)
표구의 사회사
표구의 사회사
  • 최승우
  • 승인 2022.09.16 10: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경연 외 2인 지음 | 연립서가 | 344쪽

표구(족자, 병풍, 액자)를 그림에 종속된 존재로 보는 시각을 향한 이의 제기!
이 책은 미술사에서 배제되어온 프레임의 존재를 환기한다. 우리는 흔히 ‘표구’를 그림에 종속된 존재, 혹은 그림과 별개의 것으로 바라본다. 하지만 표구는 작품의 안과 바깥 사이 경계에 위치하며, 작품의 구성에 관여한다. 그림과 프레임이라는 이분법적이고 주종이 명확한 관계에서 벗어나 표구까지 포함한 전체를 하나의 작품으로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표구사, 미술사학자, 보존과학자의 만남!
이 책의 시작은 2021년 이른 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아주서화사의 경영자로서 1970-80년대 한국 표구의 전성기를 가장 가까이서 체험했으며, 전통문화의 거리를 주도하며 인사동의 르네상스를 이끌기도 했던 이기웅(현재 학교법인 보영학원 이사장)의 구술채록 프로젝트가 그 계기였다. 동양화를 중심으로 전통 담론의 탄생과 변화에 관한 연구를 펼치고 있는 미술사학자 김경연(대전시립 이응노미술관 책임연구원)과, 표구사를 계승하고 있지만 ‘보존과학’이라는 확장된 영역에서 활약하는 김미나(국립현대미술관 지류 작품 보존 담당 학예사)가 프로젝트에 합류하며 책은 구체적인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증언과 구술로 만나는 뜻밖의 미술사!
‘구술’을 바탕으로 서술된 이 책은 이전의 문헌 기록에서는 담지 못했던 영역을 보여준다. 구술은 ‘쓰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으로부터 기억을 끄집어냄으로써 또 다른 형태의 기록이 가능하게 한다. 이기웅처럼 동시대 미술의 흐름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쳤으면서도 무대 뒤에 있던 사람들의 목소리를 들려주기 때문이다.

인터뷰어 김경연이 “나의 미술사 공부가 놓쳐왔던 부분”이라고 말했듯 이기웅의 구술은 지금까지 미술사 서술에서 누락되어 온 작가와 작품에 대한 기억이자, 제도적으로 성숙되기 이전의 한국 미술시장에 대한 기록이기도 하다. 그가 들려준 표구업 이야기는 ‘표구의 역사’를 넘어 미술시장과 그 속에 숨어 있던 ‘취향의 사회사’를 알려준다. 이 책의 제목이 『표구의 사회사』가 될 수 있었던 이유이다.

최승우 기자 kantmania@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